인터넷 검색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울 때가 많죠. 특히 해외 자료 조사나 전문적인 주제에 대해 조사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저는 이럴 때 ChatGPT 딥리서치를 활용하는데요, 복잡하고 방대한 자료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정리한 보고서를 받을 수 있어요. 추가로 부족한 부분을 다시 물어보며 추가 조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할 부여 → 구체적 요구사항 제시 → 자료 소스·기간 등 조건 지정 → 질문 이어가기"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누구든 쉽게 AI 딥리서치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AI 딥리서치 4단계 프로세스
1. 역할(Role) 부여하기
왜 역할을 정해줄까?
ChatGPT나 비슷한 AI 모델은 질문(프롬프트)에 따라 답변이 달라집니다. 단순히 "정보 좀 알려줘!"라고 하면 범위가 너무 넓어서 자료가 뒤섞이기 쉽죠. 그래서 "당신은 XX분야 20년 베테랑 조사관이다" 같은 '역할'을 미리 설정해두면, AI가 그 관점을 반영해 더 전문적인 답변을 만들어냅니다.
효과적인 역할 부여를 위한 요소
전문성: "20년 베테랑" "시장조사 전문가" 같은 경력/직무를 부여
강조 영역: "데이터 통계·증거를 중시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트렌드를 분석한다" 등
조사 범위: "최근 1년간 정보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같은 조사 범위나 방향 설정
역할 설정 예시
"당신은 AI 기술 분야에서 20년 동안 활동해온 시장조사 전문가입니다. 객관적인 데이터와 실제 사용자 경험을 모두 중요시하며, 최근 1년간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주세요."
2. 구체적 요구사항 제시하기
왜 중요한가?
AI는 인간의 뇌처럼 '적당히' ‘알아서’ 맥락을 파악할 수 없어요.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구체적으로 말해줘야 필요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요구사항 작성법
조사 주제 명확화: "OOO 분야에서 최근 1년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고 싶다."
자료 형태 지정: "공식 통계, 커뮤니티 의견, 회사 발표 자료를 나눠서 알려달라."
분석 포인트: "만약 논란이 있는 부분이 있다면, 찬반 논리를 정리해 달라."
요구사항 예시
"나는 생성형 AI 주제에 대해 궁금해. 특히 최근 1년 동안 어떤 새로운 기술이 나왔고, 사람들은 이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고 싶어. Reddit 같은 커뮤니티 의견과 정부/기업 발표 자료를 구분해서 정리해 줘."
⚠️ 주의사항: 너무 광범위한 질문은 피하고, 구체적인 조사 주제와 원하는 결과물 형태를 명시하세요.
3. 자료 소스·기간 지정하기
왜 출처 범위까지 지정해야 할까?
원하는 특정 학술 정보 웹사이트나 커뮤니티 성격을 규정해주면 더 정확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플랫폼 예시: Reddit의 /r/MachineLearning, Hacker News, arXiv 논문 등
출처(Authority) 구분
정부나 연구기관 발표 (가장 신뢰도 높음)
기업·스타트업 블로그 (목적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깊게 해석)
일반인 커뮤니티 (경험담·사례가 풍부하지만 주관적일 수 있음)
기간: "최근 1년" "3년 전과 비교" 등 시점 강조
정보 소스 유형
신뢰도
특징
활용 팁
학술 연구/정부 발표
⭐⭐⭐⭐⭐
가장 신뢰도 높음, 검증된 정보
최신 트렌드 파악에는 부족할 수 있음
기업/스타트업 자료
⭐⭐⭐⭐
최신 정보, 비즈니스 관점
마케팅 목적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전문가 블로그/포럼
⭐⭐⭐
심층 분석, 전문가 의견
주관적 관점이 포함될 수 있음
일반 커뮤니티(Reddit 등)
⭐⭐
사용자 경험, 다양한 사례
사실 확인 필요, 개인 경험 위주
소스 지정 예시
"레딧의 /r/MachineLearning과 /r/OpenAI 게시판에서 1년 이내 올라온 글을 중점적으로 조사해 줘. 또한 arXiv에 발표된 관련 논문과 기업 블로그 글을 비교해서 어떤 점이 다른지도 언급해 줘."
4. 대화를 충분히 이어간 다음에 요청하기
한번에 요청하고 끝내지 말자!
한 번에 완벽한 요청을 주고 원하는 답을 얻는 건 정말 쉽지 않아요. 우선 웹검색 모드를 활성화하고 위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조사를 합니다. 대화를 하며 나누는 과정에서 놓친 부분은 없는지 확인한 후에 원하는 포인트만 좁혀서 딥리서치로 요청하는 걸 추천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대화의 맥락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AI가 이해하고 조사를 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에 가깝게 나올 확률이 높아져요.
후속 질문 활용하기
이후에 딥리서치(심층 리서치) 요청을 하면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 질문을 하는데요, 이때 세밀하게 조사 범위를 설정하면 보다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5. 딥리서치 결과를 통해 더 많은 인사이트 뽑기
결과가 나온다고 끝이 아니죠. 딥리서치의 방대한 결과물 안에서 AI와의 대화로 필요한 정보 찾는 방법도 중요해요!
핵심 포인트 추출: "방금 말해준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한 통계 5가지만 꼽아줘."
반대 의견 확인: "여기에 반대되는 의견이 있다면 뭔지 더 찾아줘."
사례 요청: "실제 성공/실패 사례를 알려줘.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구체적으로 말해줘."
불확실성 표시: "근거가 부족하거나 자료가 적은 부분은 '추가 검증 필요'라고 표시해줘."
아래처럼 딥리서치 결과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기 위해 질문을 이어가 보세요!
"아까 제시한 생성형 AI 트렌드 중 가장 신뢰도 높은 3가지를 골라서 다시 설명해 줘. 각 정보의 출처(공식 보고서인지, 커뮤니티 글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줘."
실전에서 활용하기: 딥리서치 프롬프트 템플릿
아래는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템플릿입니다. 원하는 주제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해보세요!
[역할 설정]
"당신은 [분야]에서 20년간 일해온 시장조사 전문가이며, 객관적 통계와 커뮤니티 목소리를 함께 분석합니다."
[질문/목표]
"나는 최근 1년 간 [주제/분야]에서 생긴 변화와 주요 이슈를 알고 싶어요. 공식 통계와 커뮤니티 의견으로 나눠 알려주고, 만약 3년 전 자료가 있다면 비교도 해주세요."
[세부 조건]
1. "Reddit의 /r/[관련 서브레딧], /r/[관련 서브레딧], 그리고 Hacker News에서 최근 1년간 올라온 글 내용을 정리"
2. "공식 기관 발표, 기업 발표, 사용자 경험담을 구분해서 알려주기"
3. "신뢰도가 낮거나 출처가 불명확한 정보는 '추가 검증 필요'라고 표시"
[결과물 형식]
1. 주요 통계·수치
2. 커뮤니티 내 쟁점(찬반 의견)
3. 대표 사례(성공·실패 사례)
4. 핵심 요약 3~5줄
실제 딥리서치 프롬프트 예시: 불닭볶음면 미국 시장 조사
다음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롬프트 예시입니다.
[역할 설정] "당신은 20년 경력의 시장조사 전문가이자, 미국 소비자 동향 분석에 정통한 컨설턴트입니다. 공신력 있는 통계와 온라인 커뮤니티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해 답변해 주세요."
[질문/목표] "최근 3년간 미국 소비자들이 한국 '불닭볶음면'에 대해 갖는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고 싶어요. 특히 매운맛과 관련된 문화 트렌드, SNS 챌린지, 해외 식품 트렌드, 한국 음식에 대한 인지도 확대 등의 측면에서, 과거(2017~2019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함께 언급해 주세요."
[세부 조건] Reddit(/r/spicy, /r/ramen, /r/snackexchange, /r/koreanfood), 트위터, 틱톡,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 언급 중심으로 정리 Nielsen, Statista, 식품산업 보고서 등에서 나온 판매량·시장 점유율 자료(있다면) 함께 소개 '추가 검증 필요' 부분은 명시하기 불닭볶음면의 브랜드/맛별 차이(오리지널, 핵불닭, 카르보, 치즈 등)도 가능하면 비교
[결과물 형식] 주요 통계·수치 소비자 인식 변화 요약 커뮤니티 반응(찬반·흥미로운 후기) 브랜드별 차이 최종 요약 (3~5줄)
“무슨 글을 써야 할까?” 아이디어가 막혔을 때, 초안이 떠오르지 않을 때, 이 글을 따라해보세요.
해외 인플루언서들이 실제 사용하는 AI 글쓰기 프롬프트와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아이디어 도출 → 초안 구성 → 스타일 변환 → 콘텐츠 재활용 → 루틴화까지! AI와 함께 글쓰기를 가볍게 시작하는 5단계 방법, 지금 배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