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은 강력한 문서 및 협업 도구이지만, 웹사이트로도 활용할 수 있어요. 주의할 점이 있어요. 만든다고 끝이 아니죠. 자연유입을 이끌 SEO 최적화가 필수입니다. 요즘은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SEO)뿐만 아니라 AI 검색(AEO, Answer Engine Optimization)까지 대비해 적절한 전략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크니컬 SEO, 콘텐츠 SEO, AI 검색(AEO) 최적화 전략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최종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SEO 체크리스트를 제공해드릴게요!
1️⃣ 테크니컬 SEO : 검색 엔진이 노션 페이지를 잘 크롤링하고 색인화하도록 최적화하기
테크니컬 SEO는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제대로 이해하고 색인화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1.1. 페이지 속도 최적화
이미지 최적화: JPEG 대신 WebP 포맷 활용하세요. 용량이 큰 이미지는 압축 후 사용하시면 좋아요! 이미지 포맷 변환을 도와주는 사이트를 활용하시면 쉽게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어요! 또한 불필요한 블록 제거하고 텍스트 중심의 심플한 구조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크롤링과 색인화 최적화
robots.txt 및 XML 사이트맵 제출해야 합니다. 노션 기반 웹빌더인 Bullet같은 서비스를 이용 시 자동 생성됩니다. 그리고 구글 서치 콘솔(GSC)에 사이트 등록 후 크롤링 오류 확인하세요! 웹 검색에 노출되지 않도록 중요한 페이지는 noindex태그를 활용하여 색인되지 않도록 합니다.
📣
색인(index)란?
구글이 웹사이트의 페이지를 찾아서 검색결과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 색인됨 (Indexed) =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될 수 있음
❌ 색인 안 됨 (Not Indexed) = 구글 검색 결과에 나오지 않음
📌noindex 태그란?
특정 페이지가 구글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HTML 태그입니다.
📌 왜 noindex를 사용할까?
모든 페이지가 검색에 나오면 좋은 게 아닙니다!
SEO를 위해 검색에 나오면 안 되는 페이지를 noindex로 설정해야 합니다.
✅ noindex가 필요한 페이지 예시
로그인 페이지, 마이페이지 (예: example.com/login)
방문자만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는 검색에 나올 필요가 없어요.
중복 콘텐츠 페이지
같은 내용이 여러 페이지에 있다면, 검색엔진이 헷갈릴 수 있어요.
중복된 페이지는 noindex로 설정해 주요 페이지만 색인되도록 해요
관리자 페이지, 결제 완료 페이지
내부적으로만 쓰는 페이지는 검색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1.3. 모바일 최적화 (반응형 웹 디자인 적용)
모바일에서 레이아웃이 깨지지 않는지 확인해보세요! 노션의 블럭 기능을 활용해 가독성을 높이고 노션 기반 웹빌더인 Bullet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기능을 활용해 디자인 퀄리티를 높일 수있어요. 지금 보시는 사이트도 Bullet으로 제작한 홈페이지입니다.
1.4. 맞춤 도메인 연결
노션 기본 URL(notion.site)이 아닌 개인 도메인 연결 (예: mywebsite.com)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 도메인이 아니라 노션, Bullet, Super, 우피(oppy) 등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링크를 쓸 경우 구글에서 봤을 때 신뢰도 점수를 낮게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맞춤 도메인으로 연결했다면 HTTPS(SSL) 보안 적용 필수로 해야 합니다.
2️⃣ 콘텐츠 SEO : 구글 검색 결과에서 상위 랭킹을 위한 최적화 전략
콘텐츠 SEO는 검색 엔진과 사용자가 모두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2.1. 키워드 최적화
주요 타겟 키워드를 제목(H1), 부제목(H2~H3), 본문에 자연스럽게 포함합니다. 제목과 본문에는 연관 키워드를 고려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본문 뿐만 아니라 키워드를 URL, 제목 태그(title), 메타 설명(meta description)에도 포함해야 하는데요, 노션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면 메타 설명까지 수정할 수 있어요.
2.2. 구조화된 콘텐츠 작성
검색엔진이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목차(Table of Contents) 추가합니다. H2, H3 태그를 활용해 논리적인 콘텐츠 구조를 짭니다. 콘텐츠에 따라 리스트(List) 및 표(Table) 적극 활용하여 구조화된 콘텐츠로 구성하면 좋습니다.
2.3. 내부 링크 & 외부 링크 최적화
관련 콘텐츠 간 내부 링크 추가합니다. 내부 링크는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이전 글"이나 "관련 글” 링크를 걸어도 좋아요. 권위 있는 외부 사이트(구글, 위키백과 등)를 인용하는 것도 좋아요. 본문글과 관련된 출처가 명확한 외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좋겠죠!
2.4. 미디어 콘텐츠 활용
고품질 이미지, GIF, 동영상 삽입하여 체류 시간 증가시키면 가장 좋습니다. 이미지 ALT 태그를 사용하면 검색 엔진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니 왠만하면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좋겠죠!
2.5. 정기적인 콘텐츠 업데이트
한번 발행한다고 끝이 아니죠! 최신 트렌드 반영하여 콘텐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GA) 활용해 주기적으로 트래픽 분석 후 SEO 성과가 낮은 페이지 개선합니다.
3️⃣ AI 검색(AEO) 최적화 : 구글의 AI 검색(SGE)과 음성 검색 대비하기
AI 검색(AEO, Answer Engine Optimization)은 구글의 AI 기반 검색(SGE)과 음성 검색(Voice Search)에서 콘텐츠가 노출될 확률을 높이는 최적화 방법입니다.
3.1. FAQ 및 Q&A 형식 활용
검색 의도를 반영하여 FAQ(자주 묻는 질문) 섹션을 추가합니다. "노션 SEO 최적화 방법은?"과 같은 질문형 콘텐츠 포함하면 좋겠죠!
3.2. 구조화 데이터(Schema Markup) 적용
FAQ, HowTo, Article Schema를 적용해 검색 결과에서 Rich Snippets 확보하면 높은 트래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노션 기반 웹빌더인 Bullet에서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3.3. 음성 검색(Voice Search) 최적화
앞서 말한 질문형 콘텐츠나 대화형 키워드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노션으로 SEO 최적화하려면?" 같은 구어체로 흥미를 제공하고 음성 검색 노출을 고려합니다. 작성 시에는 본문 글이 두서가 없거나 검색 의도에 빗나가지는 않았는지 체크합니다. 간결한 문장으로 핵심을 담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션을 활용한 AI 프롬프트 저장소 템플릿을 소개합니다. Claude, GPT 등 다양한 모델에 사용한 프롬프트를 버전별로 저장하고 카테고리별로 관리할 수 있어 콘텐츠 기획과 블로그 글쓰기에 매우 유용합니다. 재사용이 쉬우며 팀원과 공유도 가능해 업무 효율성을 크게 높여줍니다.